-
눅 18:31-34 인자의 구속의 방법
인자의 구속의 방법(눅18:31-34)찬202장 인자에 관해 기록한 구약예언의 핵심인 구속의 방법을 무엇이라 가르칩니까? 첫째, 그의 고난을 통해 이뤄집니다(32) 이방인에게 넘겨지고 희롱당하고 능욕과 침뱉음의 극도의 수치를 당하심은 아담이 당한 수치를 대신하기 위함이었습니다(사53:5). 둘째, 그의 죽음으로 성취됩니다. 고난의 절정인 죽음이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셨습니다(33). 자기 백성의 죄, 죄책, 형벌을 짊어지고 완전히 죽으셨습니다. 그의 죽음은 우리의 죽임이었고 우리의 온전한 나음이었습니다.…
-
눅 18:35-43 한 맹인의 믿음
한 맹인의 믿음(눅18:35-43)찬340장 참 구원을 받은 한 소경의 믿음은 어떤 것입니까? 첫째, 그는 예수에 대한 바른 고백이 있었습니다(38-39). 다윗의 자손이란 메시야임을 믿은 증거입니다. 예수가 누구인가를 아는 기독론적 고백이 구원의 시작됩니다. 성령은 그 일을 위해 우리 속에 씨를 심으시고 때가 돼 발아하게 하십니다. 둘째, 그는 그리스도에 대한 강렬한 소원을 가졌습니다(40-41). 소원을 마음에 두어 비전을 갖게 하시고…
-
눅 19:1-10 구원의 참 모습
구원의 참 모습(눅19:1-10)찬206장 인자가 오신 목적이 구원이라는 것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리킵니까? 첫째, 그것은 죄로부터의 구원입니다(8). 삭개오가 주님을 영접하자마자 자신의 죄인됨을 고백한 것은 성령의 조명으로 자신의 실상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자기 죄를 책임지는 마음과 함께 죄와 상관없는 자로 살려는 의지를 갖게 됐습니다. 둘째, 그것은 주님을 영접할 때 일어났습니다(6). 이론적, 감정적 수납 정도가 아니고 자기 몸을 산제물로…
-
눅 19:11-27 구원의 왕이신 그리스도
구원의 왕이신 그리스도(눅19:11-27)찬352장 주님의 비유는 구약의 상징주의와 모형주의로 진리를 나타내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는 비유가 그리스도를 말하고 그를 섬기는 방법을 그림으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열 므나 비유는 그 사실을 어떻게 보여줍니까? 첫째, 그리스도는 므나를 맡기는 귀인으로 묘사됐습니다(11-12), 왕위를 받으려가는 귀인처럼 그리스도는 구속의 완성자임을 선포하기위해 죽음, 부활, 승천으로 아버지께로 가셨습니다. 둘째, 종들은 그에게 붙어있는 신자들입니다. 그들은 각자…
-
눅 19:11-27 착한 종의 충성
착한 종의 충성(눅19:11-27)찬214장 구원받은 후 우리는 착한 종의 길을 가야합니다. 어떻게 착한 종이 됩니까? 첫째, 착한 마음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그 마음은 가난한 마음에서 생긴 열매이고(마5:3) 구원의 영이신 성령의 일하심으로 생겨난 열매입니다(엡5:8-9). 둘째, 작은 일에 대한 성실함이 중요합니다. 그 종은 큰 것이나 높은 곳에 마음을 두지 않고 작은 일에 두었습니다. 거듭난 마음은 작은 일에서부터 신실하기 때문입니다.…
-
눅 19:11-27 악한 종의 불충성
악한 종의 불충성(눅19:11-27)찬410장 구원받은 신자는 구원 후 구원받은 자의 삶 곧, 장사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왜 악한 종이 됐습니까? 첫째, 주인을 오해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가 누구인가를 아는 기독론적 확신이 없는 자는 구원받지 못합니다. 구원은 그 왕이 누구인가를 아는 지식으로 시작하고 더 깊이 알게 함으로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지식은 자기에게 나올 수 없고 오직 위로 임하는…
